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최근 동두천 아파트 집값이 하락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동두천은 그동안 투자들의 유입으로 그동안 집값이 올랐던 지역 중에 하나인데요. 최근 부동산 시장에 3기 신도시 사전 청약과 대출 중단 사태, 금리인상 이슈가 맞물리면서 더 이상의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이어지지 않으면서 집값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은 최근 집값 하락 시기와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 부동산 전망은 어떻게 될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
- 최근 3번의 집값 하락이 있었습니다. |
- 앞으로 부동산 전망 |
최근 3번의 집값 하락이 있었습니다.
최근 5년 사이에 집값 하락이 3번이 있었습니다. 한국 부동산원 전국 주택 가격동향 매매 가격지수를 보면 2017년 8월~9월과 2018년 11월~2019년 6월, 2020년 3월~5월 총 3번이 최근 집값이 하락했던 시기인데요. 해당 시기는 강력한 부동산 정책이 나온 시기와 맞물리며, 이 3번의 하락기 이후에는 상승으로 바로 이어졌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 LTV 40% 규제 시행으로 집값 하락 "
2017년 8월~9월의 첫 번째 집값 하락은 정부의 종합 부동산 대책이 나오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부는 연일 상승 중인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 LTV 규제를 강화했었는데요. 투기과열지구 LTV 40% 제한하는 규제와 가구당 주택담보대출을 1건으로 제한하는 금융규제가 시행되면서 첫 번째 하락이 있었습니다.
" 3기 신도시 공급 대책으로 집값 하락 "
2018년 11월~2019년 6월의 두 번째 집값 하락은 최근 있었던 하락기 중에 가장 긴 시간 동안 집값이 하락했던 시기인데요. 이 시기에는 3기 신도시 공급 대책 발표가 있었던 시기입니다. 3기 신도시 공급 대책 발표 이후에도 2019년까지 3번의 공급 확대 대책을 쏟아냈던 시기로 집값에도 영향을 주었던 시기입니다.
" 공공부지 공급 대책과 LTV 추가 규제로 집값 하락 "
2020년 3월~5월의 세 번째 집값 하락은 용산정비창 등 공급 대책을 발표하며,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이 있었던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공공 정비 사업을 추진한다는 내용과 함께 조정지역 내 LTV 규제도 강화하면서 신규 분양주택 전입 의무화도 있었던 시기였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전망
" 3기 신도시 사전 청약과 대출 금지로 집값 주춤 "
최근 5년의 집값 하락 원인을 보면 공급과 대출 규제에 대한 대책이 발표될 때마다 있었는데요. 최근 부동산 집값 상승이 주춤해진 것도 이와 비슷하지 않냐는 시각이 있습니다. 최근 3기 신도시 사전청약과 대출을 전혀 해주지 않는 초강력 대책으로 부동산 집값도 주춤하고 있다는 해석인데요. 하지만, 과거에도 그랬듯이 이런 조정 시기가 끝나면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부동산대책 총정리, 앞으로 부동산 대책은?? (0) | 2021.12.13 |
---|---|
전세자금대출 내년부터 다시 규제? 부동산 전망 (0) | 2021.12.11 |
12억까지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기준 (0) | 2021.12.08 |
1가구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부동산 세금 정리 (0) | 2021.12.05 |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앞으로 부동산 전망 (0) | 2021.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