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율 70%에 집을 사라, 부동산 전망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및 경제

전세가율 70%에 집을 사라, 부동산 전망

by 직장인 여리 2021. 11. 24.

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집값의 매매가와 전세가의 비율인, "전세가율"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합니다.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을 의미하는데요. 전세가율의 숨겨진 의미를 아신다면 주택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끝까지 보시고 전세가율의 숨겨진 의미와 전세가율 70%면 집을 매수해도 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 전세가율의 숨겨진 의미
  - 지금까지의 주택 시장의 전세가율 추이
  - 전세가율 70%를 기억하세요.

 

 

 

전세가율의 숨겨진 의미

전세가율의 숨겨진 의미
전세가율의 숨겨진 의미

전세가는 100% 실수요 가격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매매가는 실수요 가격에 기대심리(일종의 프리미엄)가 더해진 가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전세가율이 높아 전세가랑 매매가랑 비슷한 상태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실수요 가격만 있고 기대심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이 기대심리는 전체적인 부동산 분위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금과 같이 부동산 호황기에는 전세가율이 점점 낮아지고, 하락장에서는 전세가율이 점점 높아집니다. 정리하면, 전세가율 증감만 파악하고 있어도 앞으로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될지 예상해 볼 수 있고 전세가율의 고점에서 매수한다면 비교적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 타이밍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주택 시장의 전세가율 추이

부동산 하락장과 전세가율의 관계
부동산 하락장과 전세가율의 관계

그럼 부동산 하락장에서 상승장으로 전환되는 전세가율은 몇일까요?? 그리고 정말 부동산 하락기에는 전세가율이 높았고 상승기 일 때는 전세가율이 높았을까요? 부동산 대세 하락장이었던 2013년도에는 전세가율이 70%었지만, 부동산 대세 상승장이었던 2017년부터는 전세가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전세가율 70%를 기억하세요.

" 전세가율이 점점 하락한다면 부동산 상승장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지금까지 주택 전세가율과 부동산 하락장과 상승장 시기를 비교해보면 전세가율 70% 정도가 부동산 하락장의 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건 전세가율이 점점 하락한다면 실거주 가격보다 기대심리 가격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니, 부동산 상승장을 예상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주택 매수 전 전세가율 추이도 반드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