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오는 11월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는 0.25% 올려 이제 기준 금리가 1%가 되었습니다. 코로나 이후 0% 때 금리가 계속되었는데요. 20개월 만에 0% 때 초저금리 시대가 끝나고 이제 1% 때 금리가 되었습니다. 내년에도 추가적으로 2~3번의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금리가 빠른 속도로 오르는 상황에서 앞으로 집값 전망은 어떻게 될지 오늘 포스팅을 끝까지 보시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
- 빨라지는 기준 금리 인상 속도 |
- 앞으로 집값 전망은?? |
빨라지는 기준 금리 인상 속도
지난 8월 기준 금리 인상에 이어 11월 25일 추가적인 기준 금리 인상이 있었습니다. 이로써, 코로나 이후 20개월간 제로금리를 유지했던 기준 금리가 1% 때 금리로 올랐는데요. 최근 끝없이 올라가는 물가와 가계 대출 급증, 자산 가격 상승을 이유로 올해 한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2% 올라 약 10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고 합니다. 물가 상승률 폭등은 서민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금리 인상은 불가피했다고 생각되는데요. 또한, 한국은행은 내년에 3번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가계대출의 이자 부담이 높아지며,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집값 전망은??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면서, 앞으로 자산 시장이 어떻게 될지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끝없이 오르기만 했던 부동산 시장의 전망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큰데요. 실제로 2년 동안 빚내서 주택 매수를 했던 빚 투족이 늘어나면서 금리 인상은 많은 분들에게 큰 타격으로 올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공급 부족이라는 상승 요인과 금리인상과 대출규제라는 수요 억제 요인이 상충하고 있는 상황으로 내년에는 보합세 및 기존 물가 상승률 정도의 완만한 상승을 보일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금리인상의 속도가 빠른 만큼 지금부터는 무리하게 빚내서 주택 매수를 하기보다는 관망하며 시장을 지켜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앞으로 부동산 전망 (0) | 2021.12.01 |
---|---|
부동산 양도세 12억 비과세, 앞으로 집값 전망 (0) | 2021.11.29 |
전세가율 70%에 집을 사라, 부동산 전망 (0) | 2021.11.24 |
종부세 과세 대상, 올해 종부세 2배?? (0) | 2021.11.23 |
신축빌라 분양, 왜 신축빌라는 사면 안될까 (0) | 2021.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