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금일 부동산 주택 양도세 비과세 조건이 기존 실거래가 9억에서 12억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서울 평균 집값이 12억 인 것을 감안하면 많은 주택이 양도세 비과세 조건을 갖추게 되었는데요. 양도세 비과세 조건이 완화되면서 앞으로 집값은 어떻게 될지 오늘 포스팅을 끝까지 보시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
- 양도세 비과세 요건 9억 > 12억으로 완화 |
-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양도세 비교 |
- 앞으로의 집값 전망 |
양도세 비과세 요건이 9억에서 12억으로 완화
" 이제 12억 주택까지 양도세 비과세 "
주택 매도 시 기본적인 비과세 요건인, 2년 보유, 2년 거주 요건만 충족한다면, 시가 9억 원까지는 양도세를 비과세 하는 제도가 있었는데요. 금일 2021년 11월 29일 기준으로 시가 9억에서 12억 원까지 비과세 하는 것으로 여야가 합의했다고 합니다. 양도세 비과세 요건 9억 원은 2008년 개정된 이후 지금까지 유지되어 있던 기준인데요. 고가주택의 기준점이었던 9억 원이 양도세 비과세의 기준점이었지만, 그동안 물가와 수년간 오른 집값 상승으로 고가주택 기준이 9억 원이라는 점이 비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많았고, 실거주 1가구 1 주택에게는 세금 감면을 위해 추진된 내용이라고 보이네요.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양도세 비교
실거래가 12억 주택 | ||
구분 | 기존 | 변경 |
양도세 비과세 | 양도세 비과세 9억원 | 양도세 비과세 12억원 |
양도세액 | 3억원에 대한 장기보유 특별공제 | - |
2년 보유, 2년 거주 요건을 충족한 시가 12억 원의 주택을 매도할 경우 기존에는 3억에 대한 장기보유 특별공제를 냈었지만, 이제는 양도세를 전혀 내지 않게 되었습니다. 1가구 1 주택자분들에게는 정말 큰 혜택으로 앞으로 부동산 시장에 매물이 많이 나올지 지켜볼만한 내용일 것 같습니다.
앞으로 집값 전망
" 서울은 여전히 공급 부족, 경기도 외곽부터 차익실현 매물 등장 "
양도세 비과세 요건 완화는 기존 주택 매물이 부동산 시장에 나올만한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의 공포로 고가주택들은 여전히 매물 잠김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급지가 낮아 단순히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주택 가격이 많이 올랐던 경기도 외곽 지역의 주택들은 차익실현을 위해 매물로 많이 나올 것으로 보이며, 내 집 마련의 기회를 보고 있는 분들은 경기도 외곽 지역의 매물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가구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부동산 세금 정리 (0) | 2021.12.05 |
---|---|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앞으로 부동산 전망 (0) | 2021.12.01 |
기준금리 인상과 앞으로 집값 전망 (0) | 2021.11.26 |
전세가율 70%에 집을 사라, 부동산 전망 (0) | 2021.11.24 |
종부세 과세 대상, 올해 종부세 2배?? (0) | 2021.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