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종합부동산세, 줄여서 '종부세'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으로 합니다. 최근 종부세 부과 기준이 공시지가 9억 원에서 11억 원으로 변경된다고 합니다. 공시지가는 실거래가 대비 70~80% 수준이기 때문에 실거래가로는 13~15억이 넘어야 종부세가 부과된다고 보면 될 것 같네요. 고가 1 주택이나 2 주택자분들은 종부세를 내야 한다는 부담이 있었는데, 모처럼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이 나온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례를 통해 종합부동산세를 계산해 보고 투자 시 기억해야 하는 부분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려고 합니다.
목차 - 종부세는 얼마나 나올까 - 사례를 통해 보는 종부세 계산법 ( 중요 ) - 부동산 시장 전망 ( 중요 ) |
" 종부세 때문에 다주택자가 주택을 판다?? 몇억씩 나온다는 건가?? "
"종부세 때문에 고가주택 매매와 다주택자가 되는 게 힘들다", "종부세가 오르면 다주택자의 매물이 많이 나온다"는 뉴스를 보신 적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뉴스를 접하게 되면 막연히 종부세는 몇억씩 나오는 걸로 오해할 수 있지만, 보통 15억 주택 기준으로 종부세는 60만 원 정도 부과됩니다. 여기에 종부세 부과 기준이 공시지가 9억에서 11억으로 높아짐에 따라 종부세 부담에서 벗어나는 주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종부세 기준, 공시지가 9억 > 11억
기본 공제액과 추가 공제액의 합으로 종부세 최종 공제액이 결정되는 종합부동산세에서 추가 공제액이 3억 원에서 5억 원으로 상향한다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이렇게 되면, 1가구 1 주택의 경우는 공제액이 9억 원에서 11억 원이 되지만, 공동명의는 기존 12억에서 변동이 없어, 공동명의에 의한 종부세 혜택이 거의 사라지는 꼴이 되었습니다.
사례를 통해 보는 종부세 계산법 (중요)
실거래가 15억 인 주택 1세대 1 주택 기준으로 종합부동산세를 계산한 내용입니다. 사례를 통해서 정확하게 종부세가 얼마나 나오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분 | 종합부동산세 계산 | 세금 계산 |
공시가격 | 인별 주택 공시가격 | 12억 (실거래가 15억) |
공제금액 | 11억 (1세대 1주택) | 11억 |
과세 표준 | 공시가격 - 공제금액 | 12억 - 11억 = 1억 |
세율 | 과세표준 3억 이하 0.6% 과세표준 6억 이하 0.8% 과세표준 12억 이하 1.2% |
0.6% |
종합부동산세액 | 과세표준 X 세율 | 1억 X 0.6% = 60만원 |
기타 공제되는 재산세액과 보유기간에 따라 세액 공제되는 부분을 제외했습니다.
부동산 시장 전망 ( 중요 )
중부세 공제액이 9억에서 11억으로 변경됨에 따라 고가 주택의 세금 부담이 낮아집니다. 종합부동산세 부담으로 고가주택 매수를 망설였던 중저가 1 주택자 및 다주택자는 고가 주택으로 갈아탈 만한 요인이 될 것 같습니다. '똘똘한 한 채'라는 부동산 투자 방향이 더 뚜렷해지고 이는 강남의 집값 상승으로 연결될 것으로 보이네요.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금조달계획서에 증여는 어떻게 기재할까, 사례별 작성 방법 (0) | 2021.08.26 |
---|---|
주택담보대출 규제 부동산 시장의 영향 (0) | 2021.08.22 |
주택임대사업자 세제 혜택, 쉽게 파악하기 (0) | 2021.08.14 |
LH 임대주택 종류, 임대 주택 신청 조건 (0) | 2021.05.07 |
주택연금 예상수령액, 사례를 통해 보는 주택연금! (0) | 2021.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