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비과세 통장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저는 경제활동을 시작하면서 많이 들었던 말이 비과세 통장 하나는 만들어야지, 누구나 비과세 통장 1개는 가지고 있다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요. 그 당시 사회초년생이었던 저는 '세금이 없는 통장'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비과세 통장이 정확히 어떤 건지, 비과세 통장이 꼭 필요한지에 대한 내용으로 쉽게 정리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목차 |
- 비과세 통장?? 이거 언제 쓰는거지?? |
- 비과세 통장이 꼭 필요한가요?? |
비과세 통장, 이건 언제 쓰는 걸까요??
비과세 통장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통장인데요. 통장에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니 비과세 통장을 활용하세요!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제가 사회 초년생일 때는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는 말들이었는데요. 아래 질답 형태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Q) 세금?? 통장에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는 게 무슨 말인가요?? A) 통장에 돈이 있다면 이자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걸 소득으로 보고 발생하는 이자 소득에 소득세가 매겨지고 이를 제외하고 차익만 실제로 얻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Q) 혜택이 큰 건가요?? A) 소득세는 15.4%입니다. 예를 들어 2% 금리로 통장에 5000만 원 목돈을 넣어두면 매년 100만 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자 소득이 발생했으니 소득세 15.4%인 154,000원을 세금으로 내고 나머지 차익인 846,000원이 실제 받는 이자입니다. 예적금 5000만원 일 경우 1년에 154,000만 원 정도를 아낄 수 있는 거네요. Q) 단점은 없나요? A) 기본적으로 비과세 통장의 취지를 아신다면 단점도 알 수 있는데요. 비과세 통장의 취지는 현금을 통장에 적금하도록 유도하는 건데, 은행권마다 일정 금액의 현금을 묶어두기 위한 상품 중 하나라고 보면 됩니다. 이렇기 때문에 중도 인출이 불가능하고 의무가입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금을 다시 사용하려면 해지 후 일정 기간 후에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상품마다 다를 수 있으니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
비과세 통장이 꼭 필요한가요??
예적금 형태의 상품인 비과세 통장은 어떤 사람에게 필요할까요? 아래 질답 형태로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Q) 어떤 사람에게 좋나요?? A) 목돈이 있는데 아직 투자 계획이 없는 분께는 유용한 재테크 방법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기본적으로 의무 가입 기간이 있는 예적금의 형태로 요즘 시대에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에는 저축을 많이 하는 시대이다 보니 저축 개념으로 비과세 통장을 많이 활용했는데요. 지금은 저축보다는 재테크를 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목돈이 있다면, 돈이 묶이는 비과세 통장 말고 다른 제테크를 알아보시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혼부부 특별공급 대폭 확대로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0) | 2021.09.19 |
---|---|
전세자금대출 한도 규제 한다, 전세까지 규제하는 숨은 의미 (0) | 2021.09.18 |
생활형숙박시설 단점, 투자하시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 (0) | 2021.09.17 |
헷갈리는 부동산 대출 규제 정리, 모르면 돈 날립니다! (0) | 2021.09.15 |
제2의 판교가 된다고? 월판선 부동산 투자 (0) | 2021.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