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1 주택자인데 주택수를 더 늘려도 될까", "1 주택자는 추가로 부동산 투자로 어떤 걸 할 수 있지?" 이런 고민 해보셨을 겁니다. 오늘 포스팅은 1 주택자가 선택할 수 있는 투자 전략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합니다. 1 주택자는 어떤 방법으로 추가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지 아래 내용을 보시고 앞으로의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
- 1주택자 투자 전략 |
ㄴ 상급지 이동 |
ㄴ 분양권 매수 (비 조정지역) |
ㄴ 상가, 오피, 민간임대 투자 |
- 결론 |
1 주택자 투자 전략
자본주의 사회에서 1 주택은 기본적인 인플레이션 방어 및 주거의 안정성이라는 기본 포지션이기 때문에 1 주택 이후 추가적인 투자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고민 많으실 것 같습니다. 다주택자 규제로 인해, 단순히 주택을 늘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1 주택자가 선택할 수 있는 투자 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상급지로 이동
가장 확실한 전략은 상급지로 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말 그대로 상급지로의 이동이지, 급지가 동일한데 조금 더 비싼 아파트로의 이동을 말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동일 급지의 경우 어차피 상승하는 정도가 비슷한데, 굳이 매도 매수하면서 발생하는 부대비용과 세금을 감래 하면서 갈아타기를 해야 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하지만, 상급지로의 이동은 갈아탈 수 있는 추가적인 자금이 있어야 실행할 수 있는 선택지라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 분양권 매수 (비 조정지역)
전매 제한이 이제 막 풀린 분양권을 매수하고 입주 전 다시 되파는 형태로 차익을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가지고 있는 1 주택이 장기보유 특별공제에 영향을 받는 9억 이상이라면, 비 조정지역에 분양권만 고려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조정지역 분양권은 장기보유특별공제 기준에서는 주택수로 간주하기 때문에 조정지역 분양권을 매수하는 순간 보유기간이 초기화되고 다시 1 주택자가 되는 시점에서 장특공 기간을 재 산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1 주택이 덩어리가 크다면 비 조정권 분양권으로 알아보시는 게 좋은 전략이 될 것 같습니다.
3) 상가, 오피, 민간임대 투자
주택 외 다른 부동산을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가 및 오피스텔의 경우 난이도가 있는 투자로 선택하기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민간임대 투자의 경우는 분양 전환되는 임차권으로 차익을 보는 전략으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민간임대 투자도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습니다.
* 이 글도 읽어보세요! - 민간임대 투자, 분양전환 임대아파트 매매 |
결론
오늘은 1 주택자가 선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부동산 투자 전략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했습니다. 부동산 규제가 많은 상황에서 추가적인 투자를 이어가기 힘든 상황이지만, 추가적인 투자에 고민이 많으신 1 주택자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의 판교가 된다고? 월판선 부동산 투자 (0) | 2021.09.12 |
---|---|
수도권 3차 신규 택지, 가장 HOT한 경기도 신도시는 어디?? (0) | 2021.09.11 |
집 살 때 대출은 얼마나 받아야 할까요 (0) | 2021.09.07 |
민간임대 투자, 분양전환 임대아파트 매매 (0) | 2021.09.04 |
전세금 안전하게 지키는 법, 전세 보증금을 지키는 3가지 방법 (0) | 2021.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