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와 내집마련, 뭐가 좋을까?? 내가 선택한 기준 공유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및 경제

전세와 내집마련, 뭐가 좋을까?? 내가 선택한 기준 공유

by 직장인 여리 2021. 9. 22.

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전세와 매매는 정말 많이 고민하시는 부분인데요. 저도 전세와 매매를 두고 정말 많이 고민을 했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전세와 매매를 두고 고민 끝에 선택할 수 있었던 '선택의 기준'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저와 같이 전세와 매매를 고민 중에 계신 분들이 있다면 선택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 나의 5년 후를 그려보자
  - 전세로 산다면, 5년 후 점점 외곽으로 벗어나지 않을까??
  -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도 괜찮다

 

 

나의 5년 후를 그려보자

" 5년 후 전세 시장은? "

 

현재의 조건을 바탕으로 선택이 어렵다면 미래를 예측해보고 비교해 보고는 것도 좋은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점쟁이가 아니기에 5년 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전세 시장의 경우는 실수요 시장이기 때문에 예측이 가능하다고 생각했고 5년 후 전세 시장을 예측하고 매매 시장까지 고려하는 방식으로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구분 예상되는 5년 후 부동상 시장
전세 [예상되는 시장 상황]
 - 수도권 지역에 착공되는 물량이 없어 전세 공급은 부족
 - 임대차 3법으로 전세는 없어지고 월세화가 가속화됨
 - 3기 신도시는 경쟁률이 너무 높아 언제 될 지 모름
 - 3기 신도시 분양가는 계속 높아져 지금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할 것 같음.

[5년 후]
 - 지금 보다 높은 가격으로 전세를 살아야하고
 - 안되면 외곽으로 이사를 가면서 3기 신도시를 도전할 것 같음.
매매 [예상되는 시장 상황]
 - 수도권 지역에 착공되는 물량이 없어 공급 부족
 - 화폐가치 하락으로 집값은 계속 우상향 할 것 같음

[5년 후]
 - 지금 보다 높은 가격이 될 수 있음
 - 하지만, 경제위기로 집값이 떨어질 수도 있음

 

 

전세로 산다면, 5년 후 외곽으로 벗어날 것 같았습니다.

" 지금 인허가 물량이 없으니 5년 후에도 공급은 없을 것 "

" 과거 1, 2기 신도시를 보면 3기 신도기는 10년 넘게 걸립니다. "

 

생각을 정리하니 확실히 보이는 건 있었습니다. 전세 시장은 100% 실수요 시장이기 때문에 수요 공급만 보고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는 점이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공급은 점점 없어, 전세 물량은 부족할 것으로 보이고 임대차 3 법으로 월세화를 가속화되니 자연스럽게 전세 가격은 올라갈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그럼 당연히 5년 후 지금보다 외곽으로 이사를 갈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5년 후에 외곽으로 밀려날 생각 하니 전세로 거주하는 것은 정말 불안한 선택지가 되어, 매매하는 쪽으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현실적인 타협점인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

" 거주 안정성과 화폐가치 하락 방어 측면에서는 나쁘지 않은 선택지 "

 

하지만, 문제는 현재 자금으로는 괜찮은 아파트 매매는 생각할 수 없었다는 현실이었습니다. 그래서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매매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도 대단지 아파트만큼은 아니지만 화폐가치 하락에 방어와 거주의 안정성은 확보된다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