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전세와 매매는 정말 많이 고민하시는 부분인데요. 저도 전세와 매매를 두고 정말 많이 고민을 했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전세와 매매를 두고 고민 끝에 선택할 수 있었던 '선택의 기준'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저와 같이 전세와 매매를 고민 중에 계신 분들이 있다면 선택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
- 나의 5년 후를 그려보자 |
- 전세로 산다면, 5년 후 점점 외곽으로 벗어나지 않을까?? |
-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도 괜찮다 |
나의 5년 후를 그려보자
" 5년 후 전세 시장은? "
현재의 조건을 바탕으로 선택이 어렵다면 미래를 예측해보고 비교해 보고는 것도 좋은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점쟁이가 아니기에 5년 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전세 시장의 경우는 실수요 시장이기 때문에 예측이 가능하다고 생각했고 5년 후 전세 시장을 예측하고 매매 시장까지 고려하는 방식으로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구분 | 예상되는 5년 후 부동상 시장 |
전세 | [예상되는 시장 상황] - 수도권 지역에 착공되는 물량이 없어 전세 공급은 부족 - 임대차 3법으로 전세는 없어지고 월세화가 가속화됨 - 3기 신도시는 경쟁률이 너무 높아 언제 될 지 모름 - 3기 신도시 분양가는 계속 높아져 지금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할 것 같음. [5년 후] - 지금 보다 높은 가격으로 전세를 살아야하고 - 안되면 외곽으로 이사를 가면서 3기 신도시를 도전할 것 같음. |
매매 | [예상되는 시장 상황] - 수도권 지역에 착공되는 물량이 없어 공급 부족 - 화폐가치 하락으로 집값은 계속 우상향 할 것 같음 [5년 후] - 지금 보다 높은 가격이 될 수 있음 - 하지만, 경제위기로 집값이 떨어질 수도 있음 |
전세로 산다면, 5년 후 외곽으로 벗어날 것 같았습니다.
" 지금 인허가 물량이 없으니 5년 후에도 공급은 없을 것 "
" 과거 1, 2기 신도시를 보면 3기 신도기는 10년 넘게 걸립니다. "
생각을 정리하니 확실히 보이는 건 있었습니다. 전세 시장은 100% 실수요 시장이기 때문에 수요 공급만 보고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는 점이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공급은 점점 없어, 전세 물량은 부족할 것으로 보이고 임대차 3 법으로 월세화를 가속화되니 자연스럽게 전세 가격은 올라갈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그럼 당연히 5년 후 지금보다 외곽으로 이사를 갈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5년 후에 외곽으로 밀려날 생각 하니 전세로 거주하는 것은 정말 불안한 선택지가 되어, 매매하는 쪽으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현실적인 타협점인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
" 거주 안정성과 화폐가치 하락 방어 측면에서는 나쁘지 않은 선택지 "
하지만, 문제는 현재 자금으로는 괜찮은 아파트 매매는 생각할 수 없었다는 현실이었습니다. 그래서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매매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오피스텔이나 나홀로 아파트도 대단지 아파트만큼은 아니지만 화폐가치 하락에 방어와 거주의 안정성은 확보된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간 임대 아파트, 1주택자인 내가 무조건 청약하는 이유 (0) | 2021.09.25 |
---|---|
너무 많은 부동산 대출 규제, 앞으로 나는 어떻게 할까 (0) | 2021.09.24 |
신혼부부 특별공급 대폭 확대로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0) | 2021.09.19 |
전세자금대출 한도 규제 한다, 전세까지 규제하는 숨은 의미 (0) | 2021.09.18 |
비과세 통장 이거 꼭 필요할까?? (0) | 2021.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