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직장인 여리입니다.
오늘은 전입신고 안 되는 오피스텔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합니다. 전세 오피스텔을 구하다 보면 전입신고 안 되는 오피스텔을 볼 수 있는데요. 전입신고가 안된다고 하지만, 보통 이런 경우 시세가 주변보다 싸 고민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왜 오피스텔이 전입신고가 안 되는지 이유를 알아보고 전입신고가 안 되는 오피스텔을 계약을 해도 되는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시세보다 싸지만, 전입신고가 안 되는 오피스텔
전입신고가 안 되는 이유
전세권 설정하면 되나요??
시세보다 싸지만, 전입신고가 안 되는 오피스텔
전세 오피스텔을 구하다 보면 시세보다 조금 싼 오피스텔 매물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지, 이유를 부동산 중개인에게 물어보셔야 합니다. 특별한 이유 없이 단순히 시세 대비 저렴하게 내놓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전입신고 불가능이라는 조건이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 왜 전입 신고를 못하는 매물이 있는 걸까요? 어떤 이유로 집주인은 전입신고를 하지 말라는 건 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입신고 안 되는 오피스텔의 집주인 사정
" 가장 큰 이유는 집주인의 세금 절세입니다. "
오피스텔은 주거용과 업무용으로 구분되는데요.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이기 때문에 이미 1 주택이 있는 집주인의 경우 2 주택 및 다주택자가 되면서 세금을 많이 내기 때문에 오피스텔을 업무용으로 등록하고 주택이 아닌척하고 세입자를 받으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1 주택자에서 다주택자가 되면 기존 주택의 양도세 및 종부세 등 여러 세금 계산 법이 달라지며, 크게는 수억 원을 내야 하니 집주인 입장에서는 편법을 사용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세권 설정하면 되나요??
" 전세권 설정은 비용과 과정이 복잡 "
전입신고를 못하는 매물의 경우 별도의 전세권 설정으로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세권 설정은 전입신고와 마찬가지로 세입자의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인데요. 하지만, 전세권 설정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전입신고와는 다르게 과정이 복잡하며, 몇십만 원의 비용이 들기 때문인데요. 차라리 이런 매물보다는 전입신고가 가능한 다른 매물을 빨리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동산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 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과 시중 가장 높은 이자 (0) | 2022.02.13 |
---|---|
증거금징수율은 무엇일까요? (0) | 2022.01.30 |
직장인 신용 대출, 기한 연장 후 금리가 올랐습니다. (0) | 2022.01.05 |
쉽게 주택담보 대출 금리 비교 하기 (0) | 2021.12.24 |
2022년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와 전망 (0) | 2021.12.20 |
댓글